본문 바로가기
공부/사회복지학

사회복지사 2급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주요 이론 / 정신분석학 2 - 아들러

by 위글손 2021. 12. 31.
반응형

아들러(Alfred Adler)

(1) 이론의 특징과 바탕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이론은 그의 딸 안나 프로이트(A. Freud)에 의해 철저히 계승되었으나 여러 내용들은 본인과 추종자들에 의하여 수정되고 보완되었다. 에릭슨(E. Erickson)과 아들러(A. Adler), 융(C. Jung) 등도 처음에는 그의 추종자였지만 프로이트의 핵심적인 가정인 정신결정론 또는 리비도와 성적 욕구에 의한 지배를 부정하거나 수정하였다. 아들러는 정신분석학 회의 창립 회원이기도 하였고 회장으로도 활동하였다. 그러다 프로이트의 성 이론을 비판하는 발표를 함으로써 회원들의 맹렬한 비판을 받았고 그 후 프로이트와는 다른 독자적 이론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이론적, 추상적 연구보다는 현실적, 경험적 근거를 밝히는 것에 열성을 다했으며, 그는 인간이 성적 추동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가 아니라 더 많은 성향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주관적 접근의 선구자, 총체적 인간관 또는 인본주의적 접근의 개척자로 인정받기도 한다.

반응형

 

  1) 개인심리학 이론적 전제

아들러의 아래와 같은 이론적 전제는 인간 행동이 성적 추동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본 프로이트의 전제와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프로이트의 추종자들로 부터 도전을 받았지만 그의 이론에 만족하지 못하는 당시의 많은 학자와 세인들로부터 주목을 받았고 공감을 얻었다.

순번 내  용
1 인간은 통일되고 자아 일치된 성격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2 인간은 창조적인 힘이 있기에 스스로 자신의 삶을 결정할 수 있다.
3 인간은 역동적으로 자기완성을 추구하며, 자신의 중요한 인생의 목표를 향해 전진한다.
4 인간은 자기가 스스로를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행동하는 존재이다.
5 인간의 행동은 상황에 따른 즉각적 요구와 생활양식 속에 내재하는 장기적 목표에 영향을 받기때문에 전 생애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6 인간이 중점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완성, 완전, 우월, 자기현실화, 유능성 등이다.
7 모든 사람은 선천적으로 서로 협동하고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관계를 맺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2) 인간 본성에 대한 핵심 가정

아들러의 기본 가정을 이해하는데 젤리와 지글러(L. A. Hjelle & D. J. Ziegler, 1999)는 성격심리학의 아홉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아들러의 가정을 설명하였다. 자유론과 결정론, 합리성과 비합리성, 전체주의와 요소 주의, 체질론과 환경론, 가변성과 불변성, 주관성과 객관성, 발생성과 반응성, 형평성과 불형평성, 가지성과 불가지성이 그 쟁점이다. 그중 핵심이 되는 몇 가지 가정을 살펴보자.

순번 구분 내  용
1 자유론 인간의 본성은 객관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닌, 그들 자신의 창조적인 힘이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2 합리성 인간은 목표를 추구하는 존재지만 그것을 반드시 의식하지 않으며, 자유의지로 선택하는 것도 아니다. 인간은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함께 지닌다.
3 주관성 인간의 행동은 그가 현상을 인식하는 것에 따라 반영되고 결정된다.

 

반응형

▶ 정신분석학 1탄 - 프로이트

 

사회복지사 2급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주요 이론 / 정신분석학 1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은 프로이트(Sigmund Freud)에 의해 시작된 심리학의 한 갈래로 인간의 행동양식이 심리적, 내적 충동으로 인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프로이트는 그러한 욕구들을 성적 욕구로

wigglefingers.tistory.com

▶ 정신분석학 3탄 - 융

 

 

사회복지사 2급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주요 이론 / 정신분석학 3 - 융

융(Carl Gustav Jung) (1) 이론의 특징과 바탕 융은 한 때 프로이트의 왕세자라 지칭될 정도로 프로이트와 동료들로부터 신뢰가 깊었다. 그러나 고전적 정신분석학의 과도한 성적 해석에 환멸을 느끼

wigglefingers.tistory.com

(2) 주요 개념

  1) 열등감과 보상: 인간이 자신의 약점 또는 약한 상태를 자각하는 것을 열등감이라 하며, 이같은 열등을 보완하거나 강화하고 또는 다른 것으로 대체함으로써 열등 상태를 축소하는 것을 보상이라 한다. 이 같은 보상은 열등 상태를 극복하는 주요한 수단이지만 자존심이 큰 타격을 받거나 적절한 보상의 수준을 넘어서면 과대망상과 같은 과잉보상이 나타나거나 반대로 비관주의와 같은 신경 증세를 일으킬 수도 있다.

 

  2) 우월성 추구: 인간의 행동을 자극하고 추동하는 요인으로 프로이트가 제시한 성적, 공격적 동기 대신 우월추구를 중요한 동기로 설정하였다. 이는 우월성 추구를 자아완성 또는 자아실현을 위한 중요한 동기로 보는 인본주의와도 비슷한 주장이다. 인간이 환경을 보다 잘 통제할 수 있도록 권력 혹은 힘을 성취하려는 노력이 이와 같다. 이런 우월추구도 긍정적 경향과 부정적 경향을 모두 지니고 있는데 이타적으로 타인을 행복하게 하려는 목표가 긍정적 경향이고, 이기주의나 허세 등이 부정적 경향에 해당한다.

 

  3) 사회적 관심: 아들러가 후기에 설정한 또 다른 본능중 하나로 인간은 이상적인 공동사회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사회에 공헌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보았다. 이는 당사자의 의식적인 개발이나 가족관계와 아동기의 다른 경험에 의하여 형성된다고 하였다. 

 

  4) 생활양식: 생활양식은 사회학적 개념에 가까운 개념으로 자기 또는 자아, 자신의 성격, 성격의 통일성, 개성, 문제 해결에 맞서는 방법, 삶에 공헌하려는 소망등으로 정의된다. 긍정적 생활양식은 무수한 실패를 무릅쓰고 노력하여 독립적인 존재가 되려 하며, 부정적인 생활양식은 용기 상실, 열등감, 삶의 중요 과제 회피 등을 보인다.

 

(3) 성격의 발달

아들러의 인간의 성격발달 이론은 프로이트의 발달단계와는 달리 인간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가족관계와 자녀와 부모 간의 관계 등에 따라 성격발달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설명하는데 주력하였다. 그 중 성격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유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이며 다양하며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병약과 허약 체질: 아들러는 아동 시절에 만성적인 질환인 폐렴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기는 등 신체적으로 허약하였다. 이렇듯 병약했던 자신을 돌아보고 신체기관의 미발달 또는 열세가 인간의 성장에서 얼마나 중요한가를 뼈저리게 느꼈다. 그리하여 인간의 성격 결정에서 병약한 신체적 열세는 인간 생존의 필수 조건의 하나인 기술을 익히는 데 제약이 클 뿐만 아니라 열등감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열세보다도 중요한 것은 양육자들의 태도와 훈련이라고 보고 양육자가 신체 결함으로 인해 심화될 수 있는 열등감을 보상하는 제반 방법을 제시해주고, 사회적 관심을 자극시키는 노력을 한다면 이런 문제가 극복될 수 있다고 보았다.

 

반응형

  2) 사랑의 과잉: 인간의 성격 발달에 있어 지나치게 보호하거나 지나치게 도와주는 것은 아동의 사회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일으킨다는 점을 강조했다. 사랑의 과잉을 받는 아동은 어려움과 좌절에 부딪혔을 때, 문제해결을 위해 전략을 구사하기보다 스스로 좌절에 빠지거나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자기중심적 사고로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고 협동의 필요성을 알지 못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사랑의 과잉이 아동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3) 양육태만과 거부: 양육자가 자녀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를 하지 않는다면 아동의 성격발달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보았다. 특히 관심과 사랑, 신체적 접촉, 적절한 놀이 등 양육자가 해야할 무수히 많은 일을 태만히 하는 것을 양육태만이라고 하였다. 양육자로부터 거부를 당하는 아동은 성격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받으며, 물리적인 폭력은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이런 경험은 아동이 일생 불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매사에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4) 출생순위: 출생의 순위도 성격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아들러는 특히 맏이, 중간아이, 막내 등의 순위, 혹은 외둥이와 같은 위치에 따라 성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맏이는 태어났을 때 혼자라는 독특한 위치 때문에 주위의 주목을 많이 받고, 동생이 태어나면 동생에게 모든 것을 뺏기는 좌절을 경험한다고 한다. 이에 비하여 둘째를 포함한 중간 아이는 받이에게 협조하지 않으면 피해를 입는 경험이 바탕되어 협동과 타협의 기술이 잘 발달되어 있다. 막내는 항상 부모의 보호를 받고 철이 든 맏이의 보호를 받는데, 그만큼 사랑의 과잉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외둥이의 경우, 경쟁 상대가 없고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독차지하기 때문에 의존적이거나 자기중심적인 성격이 형성되기 쉽다.

 

  5) 초기기억: 아돌프는 한 사람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어렸을 적 부모가 자신에게 보여 준 태도나 말 또는 이들에 대하여 기억하고 있는 것이 그의 현재의 행동지향에 직접 관련된다고 하였다. 그를 찾아온 고객들이 이러한 고민이나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깨달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오늘날 성격 파악을 위해 사용되는 투사법의 뿌리를 두고 있다.

 

  6) 거리 두기: 인간은 성장과정에서 열등감을 피하기 위해 우월성을 추구하려 한다. 하지만 이것은 여러 장애에 부딪힌다. 그리고 이런 장애에 대한 반응 방식에 따라 적응과 부적응이 결정된다. 아들러는 이러한 반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거리두기라는 개념으로 실패를 두려워하는 인간의 성향을 강조하여 자신과 자신의 목표 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둠으로 실패 상황에 대비한다고 보았다.

 

(4) 비판

아들러의 심리학은 사회적 요인을 강조하며 집단 내에서 개인을 치료하는 집단 치료의 개념을 선도하였다. 하지만 당시 그가 살았던 시대의 철학이나 종교 등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따라서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검증이라기 보다 아들러의 사상과 가설에 치중되어 감각의 심리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반응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