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사회복지학

잔여적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정이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by 위글손 2022. 7. 20.
반응형

잔여적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정이란?

잔여적 관점의 사회복지실천에서 말하는 '사정'이 무엇일까?
'사정'은 잔여적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개입 단계의 바로 전 단계로, 클라이언트가 직면하고 있는 상황과 현상에 대해 정확하게 분석하여 앞으로 어떤 방향과 목표로 사회복지 실천을 이루어야 하는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수집, 분석 등의 사정 단계를 거침으로써 사회복지 실천의 최종 목표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바탕과 근거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사정의 대상은 개인에 국한되지 않는다.
개인, 가족, 집단과 여기서 더 나아가 지역사회가 되기도 한다.

 

먼저 개인의 사정에서는 내적 체계와 외적 체계의 관점을 함께 분석하게 된다.
개인의 내면적인 부분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을 함께 보면서 사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개인의 내적 체계로는 아래를 예로 들 수 있다.

  • 신체적 특징 : 신체의 특징이나 장애, 성별 등
  • 인식 및 지각의 기능 : 지적 요인, 개인이 가진 특징, 가치관 등
  • 사회경제적 능력 : 학력, 노동의 능력, 소득의 수준 등

개인의 외적 체계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문화 : 전통적 가치와 체계, 속해있는 조직의 문화
  • 환경 : 개인을 둘러싼 노동이나 교육, 의료 등의 환경
  • 외부와의 연계 : 개인이 외부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판단

그렇다면 가족에 대한 사정에서는 어떤 관점을 바라볼까?
가족을 사정할 때는 크게 네 가지의 차원으로 분석이 이루어진다.
가족 기능과 역동성, 생애사적인 측면에서의 가족생활 주기, 가계도, 가족에게 영향을 주는 생태 환경, 사회적 관계망과 같은 외부 환경이 그것이다.

  • 가족 기능과 역동성 : 가족의 기능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 가족 구성원이 서로 잘 상호작용하고 교류하고 있는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역동성 부분
  • 가족생활 주기 : 생애사적인 측면으로 결혼에서 자녀를 육아하고, 자녀가 성장하여 독립하고, 노년기에 접어드는 전반적인 생애사 별 주기에 있어서 각 단계에 대처와 적응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
  • 가계도 및 생태도 : 가족을 이루는 구성과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외부와의 연결 체계를 도식화하여 표현
  • 사회적 관계망 : 가족을 둘러싼 지지체계로 정신적, 물질적으로 가족을 지원하고 있는 외부 체계

위와 같이 개인과 가족은 밀접한 관계성을 지니고 있기에 사정에 관점에서 두 대상은 거의 동일한 체계로 바라보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이와 달리 집단 체계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집단 체계에 대한 사정은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집단의 역동성, 집단의 의사결정에 대한 권력관계, 집단이 지닌 가치 체계인 규범에 대한 것이다.

  • 집단의 역동성 :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 각각의 특징(연령, 성별, 지역, 직업, 자산, 목적 등)이 집단의 특징적 모습으로 나타나(예: 경로당, 청소년 동아리, 자선봉사 등) 구성원 간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거나 다른 집단과의 연계 등을 통한 역동성 부분
  • 집단의 의사결정에 대한 권력관계 : 집단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과정에서 집단 내 리더의 역할과 리더가 의사 결정을 할 때 리더의 단독으로 이루어지는지,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지에 따른 권력관계 구조
  • 집단의 규범 : 집단이 지닌 가치 체계로, 지닌 가치에 따라 집단의 규범이나 응집력이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통해 집단의 응집력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음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의 체계가 있다.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정의 기술로는 크게 여섯 가지 측면이 있는데, 지역사회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때는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방법에 따라 파악 수준이 매우 달라지게 된다.

  • 인구사회학적 : 지역의 특징을 알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분포되어 있는 인구의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유아·노인 등의 연령 계층의 분포나 가족의 형태 등을 통해 그 지역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욕구를 파악하는 것
  • 환경적 :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어촌 지역, 산업화 지역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특징을 반영한 욕구 파악
  • 역사적 : 지역 사회의 전통이나 역사에 따라 각 지역의 욕구가 매우 다르게 나타남
  • 정치적 : 그 지역 사회가 지닌 정치적 성향을 통한 욕구 파악
  • 경제적 : 각 지역의 소득 수준에 따라 각 지역 주민들의 욕구가 다르게 나타남
  • 복지서비스 : 공공 서비스(도서관, 파출소 등)나 문화 시설, 소비 시설(상권) 등의 분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역별 욕구 파악

이들은 각각 독립된 객체이지만 따로 동떨어진 존재는 아니며, 경계가 명확히 나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중첩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면, 가족 안에 존재하고 있는 개인과 집단에 속한 개인에 각각 초점을 맞추더라도 결국에는 사정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개인, 가족, 집단이 함께 나타나게 되는 것과 같다.
즉, 개인을 사정하더라도 개인 단독으로만 사정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속한 가족과 집단, 지역 사회까지 함께 분석하는 사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