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서울시에서 지원하고 있는 임산부를 위한 출산 육아 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산부라면 해당하는 지원 정책을 확인하여 잊지 말고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1) 임산부 지원
- 임산부 지원이란?
고위험 임신의 치료와 관리에 필요한 진료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건강한 출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 서비스 대상
5대 고위험 임신 질환(조기진통, 분만 관련 출혈 및 중증 임신중독, 양막의 조기파열, 태반조기박리)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임산부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분만 결과, 자궁 내 태아 사망 등으로 사산한 경우도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가구원수별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산정 부과액을 활용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인 가구여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이용 방법 및 내용
▶ 거주지 해당 자치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하세요.
▶ 신청 기간은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 입원치료비중 비급여 본인부담금 (상급병실료 차액, 환자특식 제외)에 해당금액의 90% 범위 내에서 지원(지원 한도 300만 원)합니다.
▶ 의료급여 수급자에 한해 개인부담 없이 비급여 본인 부담금 전액(지원 한도 300만원) 지원합니다.
▶ 2개 이상의 고위험 임산부 진단 기준을 동시에 충족하더라도 1인당 지원 한도는 300만원으로 동일 적용됩니다.
▶ 지원신청 기간 : 분만일로부터 6개월이내
▶ 지원 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한 달 이내에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 구별 예산 상황에 따라 지급 시기는 상이
반응형
2) 출산 축하금 지원
- 출산 전 진료비 및 출산 축하금 지원이란?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임신이 확인된 사람에게 출산 전 진료비를 지원하고, 자치구별로 출산 가정에게 출산 축하금(출산 장려금)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 서비스 대상
임신 및 출생일 기준, 해당 구에 거주하는 임산부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해당 구에 따라 거주 기간 요건이 다르니 확인하세요. - 이용 방법 및 내용
▶ 출산 전 진료비는 주민등록 주소지 해당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하세요. 구비 서류는 출산 전 진료비 지원 신청서, 임신 확인서(의료기관 발급) 등입니다.
- 절차는 임신 확인서 발급 → 지원 대상 신청(동 주민센터) → 지원 결정(자치구) → 지원 결정 통보(건강보험공단)→출산 전 진료비 사용 → 출산 전 진료비 지급 순입니다.
▶ 출산 축하금은 주민등록 주소지 해당 동 주민센터 또는 구청에서 신청하세요. 구비 서류는 신분증, 부모 명의 통장 사본 1부, 신청서 등입니다.
- 절차는 자녀 출산 → 출생신고 → 주소지 동 주민센터 출산 축하금 지원 신청 → 거주 기간 및 대상 여부 확인 → 지급 순입니다.
3) 한부모 지원
- 한부모 지원이란?
한부모를 위한 100만원상당 출산 양육물품 꿈틀박스와 24만 원 상당의 유료 예방접종 로타텍을 지원합니다!
양육초기에 필요한 물품인 유모차, 아기띠, 배냇저고리, 수면조끼, 젖병, 분유, 물티슈를 지원하고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유료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 서비스 대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기준 중위소득 80%이하인 한부모 중 아래의 조건에 해당하는 자
▶ 출산&양육물품 꿈틀박스 조건 : 임신 중이거나, 출산 3개월 이내
▶ 선택적예방접종 로타텍 조건 : 출산 6개월 이내 - 이용 방법 및 내용
서울특별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seoulhanbumo.or.kr) 공지사항에서 신청서를 받으시고 증빙서류를 구비하셔서 접수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4) 우리동네 보육반장
- 우리 동네 보육반장이란?
아이를 둔 부모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육아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어린이집 찾기, 육아상담, 우리 동네 나들이 장소·놀이터·도서관·체험관·소아과 등 부모에게 필요한 각종 육아정보를
해당 구마다 배치된 우리 동네 보육 반장들이 알려줍니다. - 서비스 대상
육아 정보를 얻고 싶은 부모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합니다. - 이용 방법 및 내용
▶ 서울시 보육포털서비스 (우리 동네 보육 반장)을 검색하세요.
▶ 다산콜센터(국번 없이 120)로 문의하시면 우리 동네 보육반장을 연결해 드립니다.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엄마와’를 다운로드하여 이용하세요.(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5)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이란?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호에 기여하고자, 출산 비용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출산(유산·사산 포함) 시 태아 1인 기준 100만원을 지원합니다. (단, 자치구별로 장애 등급에 따라 지급액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제출한 여성장애인 본인 명의 계좌로 지원금이 입금됩니다. - 서비스 대상
1급~6급 등록 여성장애인 중 출산 및 유산, 사산(임신 기간 4개월 이상)을 한 사람이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남성장애인(1급~3급)의 배우자가 출산한 경우도 신청 가능합니다.
▶ 지원에 따른 별도의 소득 기준은 없습니다.
▶ 추진기관 : 서울청각장애인학습센터(https://www.slcd.or.kr/) - 이용 방법 및 내용
▶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에서 연중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장애인 활동 보조 지원 및 장애아동 재활 치료 지원과 동시에 신청 가능합니다.
- 구비 서류는 신청자 신분증(대리인 신청 시 대리인 본인 신분증), 신청서, 출생증명서 또는 출생 사실이 기재된 가족관계등록부(주민등록등본), 장애인 본인 명의의 입금 계좌 통장 사본 등입니다.
- 임신 기간 4개월 이상 된 태아를 유산 및 사산한 경우에는 의료기관 발행 사산(사태) 진단서가 필요합니다.
- 자치구별로 구비 서류가 일부 다를 수 있습니다.
▶ 처리 절차는 신청 접수(동주민센터) → 대상자 자격 확인(동주민센터)→ 결정 및 지급(자치구) 순입니다.
지금까지 서울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출산 육아 지원 정책을 알아보았습니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임산부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니 해당 지원 정책을 꼭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정보 >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가입 조건, 신청 방법은? 5천만원 목돈 만들기 (18) | 2023.06.09 |
---|---|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신청, 청년 우울증 방치하지 마세요 (10) | 2023.05.26 |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방법, 기간, 지원금액, 대상 총정리 (10) | 2023.04.17 |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기간, 지원금액, 대상 총정리 (16) | 2023.04.17 |
24 절기의 6번째 절기인 곡우뜻, 풍습, 음식 알아보기 (8) | 2023.04.14 |
댓글
위글손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